RIA (Rich Internet Application ) 패턴

마이크로소프트의 Pattern & PracticesRIA 패턴에 대한 글이 게시되었습니다.

이 시나리오는 개인정보와같은 민감한 Data를 이용할 수 없는 RIA 어플리케이션이며 DB를 이용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합니다. 결과적으로 클라이언트, 웹서버, 데이타베이스의  3-tier 로 구성이 됩니다.

3-tier RIA Application


위와 같은 구성에서 각 레이어에 적용하면 좋을 패턴을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제시합니다.
각 레이어에 적용할 패턴들
위 패턴이 적용된 이미지의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MVC패턴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
유저인터페이스는 여러개의 control들로 구성.
Presentation 레이어와 Service 레이어사이의 통신에는 Proxy 패턴을 적용.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하나로 취합하기위해 DTO 패턴을 적용.
Service 레이어는 외부와 내부 데이터 구조 사이의 변환기능을 제공해야 함.
Bussiness 레이어는 메세지기반 운용을위해 facade 패턴 적용.
도메인 엔티티를 위한 Repository 패턴 적용.
Domain Entity 패턴은 오직 데이터만 나타내는 Business entity를 정의하는데 이용.
Domain Entity와 Database Schema 사이의 매핑을 위해 Data Mapper 패턴 적용.

위와 같은 패턴을 적용한 RIA 어플리케이션을 MS Silverlight로 구현할 경우 다음과 같은 Technical Solution을보여줍니다.
Technical Solution

아래 링크에서 더 자세한 정보와 코드조각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codeplex.com/AppArch/Wiki/View.aspx?title=App%20Pattern%20-%20Three-Tier%20RIA%20Application%20Scenario&referringTitle=Application%20Patterns
2009/01/31 12:35 2009/01/31 12:35
Trackback Address: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어중간한 마음을 다부잡을 기회를 준 회사에 감사를.



... 어중간하고 갈피를 잡으려고 애쓰던 마음에 종지부를 찍을 계기를 줘 정말 고마워.

2009/01/21 01:34 2009/01/21 01:34
Trackback Address: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Java VisualVM

dev.java.net에 등록되어있는 VisualVM이라는 자바 프로라일러. 넷빈즈에 기본 포함된 프로파일러의 stand alone
버전인지 VisualVM을 넷빈즈 프로파일러로 집어 넣은건지는 잘 모르겟지만 UI나 기능이 거의 비슷.

아래 소개영상을 보고 마음에 든다면 https://visualvm.dev.java.net 에서 더 많은 정보를 접하실 수 있습니다.
http://java.sun.com/javase/6/docs/technotes/guides/visualvm/index.html 에는 튜토리얼과 개발자를 위한
Document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2009/01/19 02:06 2009/01/19 02:06
Trackback Address: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이건 블랙유머인가?

ㅋㅋㅋ. 아고 배야..
대체 무슨 게임이야?
작성자 아이디에 주목.

작성자 아이디...


2009/01/14 21:46 2009/01/14 21:46
Trackback Address: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java.beans.XMLDecoder와 java.beans.XMLEncoder를 이용한 Java객체의 xml 변환

자바 객체와 XML간의 변환에관해서는 몇 가지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만 이번 시간에는 Java SDK에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는 java.beans.XMLDecoder와 java.beans.XMLEncoder를 이용하여 자바객체<->XML간
변환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java.beans.XMLDecoder와 java.beans.XMLEncoder클래스는 J2SE 1.4 버전부터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XML로 변환하고 XML로부터 복원할  적당한 자바 클래스를 작성합니다.
[code]
/*
 * Setter와 Getter를 가진 전형적인 JavaBean 클래스입니다.
 */

package com.yunsobi.beanxmltranslate;

import java.awt.Point;
import java.util.ArrayList;

/**
 *
 * @author 신윤섭
 */
public class SampleBean {
    private int[] scores;
    private String name;
    private Point seat;
    private ArrayList entry;

    public int[] getScores() {
 return scores;
    }

    public void setScores(int[] scores) {
 this.scores = scores;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Point getSeat() {
 return seat;
    }

    public void setSeat(Point seat) {
 this.seat = seat;
    }

    public ArrayList getEntry() {
 return entry;
    }

    public void setEntry(ArrayList entry) {
 this.entry = entry;
    }

}

[/code]
보시면 아시겠지만 int 배열과 String, Point, ArrayList 객체를 갖는 전형적인 자바빈 객체 하나를 만들었습니다.

이제, 이 SampleBean 클래스를 xml로 변환하고 변환한 xml로 부터 SampleBean객체를 복원하는 코드를 작성합니다.
[code]
/*
 * java.beans.XMLDecoder와 java.beans.XMLEncoder는
 * Java객체를 XML로
 * XML에서 Java 객체로 변환하는 쉬운 방법을 제공 합니다.
 */
package com.yunsobi.beanxmltranslate;

import java.awt.Point;
import java.beans.XMLDecoder;
import java.beans.XMLEncoder;
import java.io.BufferedInputStream;
import java.io.BufferedOutputStream;
import java.io.FileInputStream;
import java.io.FileOutputStream;
import java.util.ArrayList;

/**
 *
 * @author 신윤섭
 */
public class BeanXmlTranslato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xml로 변환할 클래스를 생성
 SampleBean sample = new SampleBean();
 //파라메터를 세팅해 봅시다.
 sample.setScores(new int[]{100, 90, 75}); //int[]
 sample.setName("Gore"); //String
 sample.setSeat(new Point(5, 3)); //java.awt.Point
 //ArrayList에 String과 Point도 넣어보구요..
 ArrayList entry = new ArrayList();
 entry.add("우리는");
 entry.add("하나다");
 entry.add(new Point(1,1));
 sample.setEntry(entry);
 
 //자.. 객체를 XML로 변환 시킵니다.
 XMLEncoder encoder = new XMLEncoder(
     new BufferedOutputStream(
     new FileOutputStream("C:\\Sample.xml")));
 encoder.writeObject(sample);
 encoder.close();
 //객체 레퍼런스를 찍어보구요..
 System.out.println(sample);
 
 //이젠 XML에서 객체로 복원시켜 봅니다.
 XMLDecoder decoder = new XMLDecoder(
     new BufferedInputStream(
     new FileInputStream("C:\\Sample.xml")));
 SampleBean sample2 = (SampleBean) decoder.readObject();
 decoder.close();
 //객체 레퍼런스를 찍어보구요..
 System.out.println(sample2);
    }
}

[/code]
예.. 변환의 핵심은 XMLEncoder 클래스의 writeObject() 메소드와 XMLDecoder  클래스의 readObject() 메소드
에 있습니다.

객체를 xml로 변환한 결과를 한번 볼까요?
[code]
<?xml version="1.0" encoding="UTF-8"?>
<java version="1.5.0_13" class="java.beans.XMLDecoder">
 <object class="com.yunsobi.beanxmltranslate.SampleBean">
  <void property="entry">
   <object class="java.util.ArrayList">
    <void method="add">
     <string>우리는</string>
    </void>
    <void method="add">
     <string>하나다</string>
    </void>
    <void method="add">
     <object class="java.awt.Point">
      <int>1</int>
      <int>1</int>
     </object>
    </void>
   </object>
  </void>
  <void property="name">
   <string>Gore</string>
  </void>
  <void property="scores">
   <array class="int" length="3">
    <void index="0">
     <int>100</int>
    </void>
    <void index="1">
     <int>90</int>
    </void>
    <void index="2">
     <int>75</int>
    </void>
   </array>
  </void>
  <void property="seat">
   <object class="java.awt.Point">
    <int>5</int>
    <int>3</int>
   </object>
  </void>
 </object>
</java>

[/code]
객체의 타입과 할당된 값이 깔끔한 xml문서로 작성된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자바에는 객체 직렬화(Serialize) 란게 있지요..
위 XMLDecoder와 XMLEncoder가 직렬화 기능을 이용하는건지 아닌지 확인 해 볼까요?
가장 정확한 방법은 XMLDecoder와 XMLEncoder의 소스를 보는것이겠지만 이미 위 예제 소스만으로도
충분히 예상 하실 수 있습니다. 위 예제의 SampleBean 이 Serializable 하지 않음에도 xml문서로 생성되었습니다.
예.. XMLDecoder와 XMLEncoder 내부적으로 java Reflection을 이용하여 xml, 객체간 변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java Reflection을 이용한다고 했습니다. 이는 getXXX, setXXX 메소드가 없다면 해당 변수를 xml로 만들어내지
못하고 객체로 복원해 내지도 못함을 의미합니다.

또 하나, XMLEncoder를 통해 변환된 xml은 문서의 형태로 보아도 외부 시스템과의 정보의 교환보다는
객체의 상태저장/복원을 목적으로 사용하는게 더 어울릴거란 생각이 드네요.

2009/01/08 21:01 2009/01/08 21:01
Trackback Address: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후지쯔 U2010 (실버쏜 아톰) H.264 가속하기 :: H.264 Video Acceleration with Atom Poulsbo

사용자 삽입 이미지

후지쯔의 U2010을 구매한 후 종종 넷북/UMPC 게시판을 찾아가곤 하는데 근래에는 빌립의 S5, S7 출시 소식과
실버쏜 아톰 플랫폼에 들어간 폴스보칩의 H.264코덱의 가속 기능에 대한 이야기가 한창인듯하다.
이 H.264 코덱 영상의 하드웨어 가속을 활성화하는 방법이 그리 녹녹치만은 않아서 설정에 쉽게 성공한 사람도
안된다는 사람도 있는 모양이다.

해서 나도 한 번 도전해 봤다.

확인 결과 이 H.264 코덱을 하드웨어로 가속(DXVA)하기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갖추어 져야 하는데
1. 그래픽 카드 칩셋이 H.264 가속을 지원해야한다.
2.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도 이를 지원해야 한다.
3. 그래픽 칩을 활용하여 H.264를 디코딩할 코덱(디코더)이 필요하다.
4. 마지막으로 렌더러의 설정이 필요하다.
보통 KMPlayer나 다음팟플레이어 등을 이용한 따라하기식 설정에는 3번까지만 설명하고 있는데
직접 설정하면서 확인한 바로는 렌더러의 설정까지 완료되어야 정말 하드웨어 가속이 되는것 같았다.

가지고있는 기기가 후지쯔 U2010이니 이녀석을 기준으로 설명하면...(아, OS는 Vista Home Premium SP1이다.)

아톰 실버쏜에 들어간 그래픽 칩인 GMA500은 위 사항 중 1,2번은 만족한다.
그 다음 3번. 현재 H.264를 H/W 디코딩 한다는 디코더는 몇 가지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궁합이 잘 맞는 것이
CyberLink사의 Power DVD 7 이상에 들어간 디코더인 듯하다.
4번 렌더러는 DXVA(Direct-X Video Acceleration)가 가능해야하는데 DXVA1 계열로는 Overlay Mixer,
Video Mixing Renderer 7, Video Mixing Renderer 9 가 있고 DXVA2 계열은 Enhanced Video Renderer (vista only)
가 있는데 U2010의 경우 DXVA1 계열의 렌더러를 사용할 경우 비디오 아웃풋에서 상당한 CPU점유율을 보였으며,
DXVA2 쪽의 렌더러를 이용해야 비로소 낮은 CPU점유율로  원활한 재생이 가능하다.

DXVA Checker로 GMA500 DXVA 가속 확인

Mpeg-2,H.264,VC1 모두 수직해상도 1080까지 DXVA 가속 가능.

위에 설명한 내용대로 잘 설정이 이루어지고나면 1920X1080 30fps H.264 동영상을 20%~40%대의 CPU 점유율로
부드럽게 재생해내는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설정한 방법을 정리하자면
1. 윈도우즈 설치 후 업데이트 (가능하다면 .net framework 3.5 sp1 까지 설치)
2. Power DVD 8 ultra 버전 (혹은 코덱) 설치
3. k-lite codec pack 최신버전 설치
4. 다음 팟 플레이어 설치
5. Power DVD 설정
6. 팟플레이어 설정
7. ffshow 설정(이 설정을 통해 WMP11에서도 Power DVD 코덱을 이용할 수 있다.)
의 순서로 세팅하였다.

1,2,3,4 의 경우 일반적인 프로그램 설치의 과정이니 특별한 내용이 없다. 5번부터 설명하면
5. Power DVD 설정 - 설정화면에서 DxVA를 활성화 해 준다.
power dvd 설정

power dvd 설정


6.팟 플레이어 설정
코덱 기본 설정

내장 영상처리 필터 사용안함. DXVA설정 해제-이렇게 해야 외부 코덱을 이용한다.


비디오 코덱 설정

H.264 / AVC1 디코더로 CyberLink 선택


영상 출력 설정

영상 출력을 EVR 계열로 선택


음성 출력 설정

U2010의 경우 WaveOutDevice를 선택해야 포인트 스틱의 영향으로인한 묵음현상이 없어짐.



7.ffshow 설정
ffshow video decoder 선택
 
ffshow video decoder 설정

코덱 설정의 H.264/AVC 를 disabled를 선택하여 시스템 default로 잡혀있을 CyberLink코덱을 사용하도록 설정



여기까지가 설정의 전부이다. 이제 H.264 영상을 돌려보면 된다.( 빙고!! )
테스트에 쓰인 영상은 H.264로 인코딩된 1920X1080 30fps의 메탈기어 솔리드4 트레일러이다.

팟 플레이어에서 가속

팟플레이어 에서도 가속 잘 되고..


WMP11 에서 가속

WMP11 에서도 잘~ 돌아간다.


2009/01/06 03:41 2009/01/06 03:41
Trackback Address: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1. 소니 바이오P에서도 동일한 세팅으로 잘되는군요. 감사합니다.
    제 블로그에 이 페이지를 링크하겠습니다.

  2. Blog Icon
    서비

    바이오P.. 저도 한대 갖고싶을만큼 매력적이더군요.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쁩니다.

  3. Blog Icon
    ㅠㅠ

    u2010 구매후 이틀째 고생하고 있네요. 출고상태의 vista로는 가속이 안되는건가요? 세팅을 완료해도 pot과 km에서는 내장코덱으로 처리해버리네요.ㅠㅠ 세븐을 깔아볼까...ㅠ

  4. Blog Icon
    서비

    인텔 칩셋에서 작동하는 h264 가속가능한 디코더가 필요한데
    비스타에는 기본적으로 해당 디코더가 없습니다.
    세팅을 완료하셨다고 하는데 어떻게 하신건지 궁금합니다.
    미디어플레이어12 에는 MS에서 제공하는 가속 코덱이 포함된다고
    하는데 미플12가 윈도우즈7에 포함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5. Blog Icon
    ㅠㅠ

    세븐에서는 microsoft d-tv 라는 녀석으로 바로 잡히고 어느정도 원활하게 플레이가 되는데, 외부코덱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는 여전하네요. 서비님과 완전하게 동일한 설정인데 제 경우는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xp도 깔아볼까 고민중입니다.

    dxva가 아닌 yuy로 잡혀서 고민인게 아니라,
    아예 powerdvd코덱은 우선순위를 아무리 줘도 모든플레이어에서, "재생시" 인식 자체를 실패하는군요.
    아.. 감이 안옵니다 ㅠ

  6. Blog Icon
    서비

    아.. 그러시군요.. 혹시 PowerDVD 9버전 설치 하신거 아닌가요?
    9버전에서는 코덱을 외부 프로그램이 이용 못하도록 막았다고 하더군요.
    PowerDVD 8 프리미엄 버전을 설치 하시면 외부 프로그램에서 코덱 사용할 수 있을겁니다.
    잘 작동 되길 빌겠습니다. ^^

  7. Blog Icon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Java 7 로드맵 업데이트와 커뮤니티의 반응.

2009년 12월 수정 : Java 7에 클로저를 도입하기로 했네요.( http://www.yunsobi.com/blog/513 )

2010년 초반 출시를 목표하고있는 Java 7의 기능을 Java SE의 수석 엔지니어 Mark Reinhold가 Devoxx에 게시한 이후 여러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비록 그의 발표가 완전히 결정나지 않은 사항에 대한 잠정적인 내용이라곤 해도 커뮤니티 - 특히 클로저(Closure)의 누락을 주시하는 - 의 반응은 대단합니다.

Mark의 소식을 전한 Hamlet D'Arcy는 그의 블로그에 Java 7 Update from Mark Reinhold at Devoxx란 제목으로 Devoxx에 발표한 Java 7 중요한 새로운 기능을 요약해 올렸습니다.
모듈화 - JSR-294와 Project Jigsaw.
JSR 292 - JVM의 dynamic language 지원
JSR 203 - 진정한 비동기 I/O( non blocking I/O가 아닌)로 구현되는 더 새로워진 I/O API
JSR TBD - 아래에 기술하는것 같은 약간의 언어적 변화
   - 안전한 rethrow
   - Null dereference 표현식 : '?' 신택스를 이용한 Null 체크
   - 향상된 타입 추론
   - Multi-catch : catch 절에 ','를 이용하여 다수의 Exception 기술
JSR 296 - 스윙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6u10 기능들의 개선(자바 커널, 퀵스타트,플러그인 등)

위 내용과 함께, 심사숙고했지만 Java 7에 포함되지 않을 몇몇 기능도 언급했습니다.
Closure - 의견을 통일하지 못해서.
구상화 제네릭 ( Reified generics )
퍼스트 클래스 프로퍼티
연산자 오버로딩
BigDecimal Syntax
JSR 295 - Beans Binding

이에대해 Java.net 에는 "Java 7에서 제외된 아래 기능 중 당신이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것은 무엇?"이란 주제로 투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Java 7 and closure

많은 이들이 Closure의 부재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군요.


Ricky Clarkson같은 사람은 극단적으로 Closure없이는 자바는 죽을 것이라고까지 표현하고있습니다.
So it's confirmed. Despite James Gosling wanting closures, despite 3 working closure prototype compilers, despite every other JVM language supporting closures, Java 7 will not have closures.
Martin Kneissl 역시 Java7에 Closure가 빠진것을 아쉬워하는 사람 중 하나입니다.
It should have closures instead of the new style "for" loop added in Java 5. It should have closures in Java 6. Now it seems that it will not get closures in Java 7. Closures are not that difficult to understand. At least when you compare them to anonymous inner classes in Java. Others disagree. I don't follow the reasoning of the closure opponents when they say that because there are stupid Java programmers out there you should limit the Language trying to prevent them from doing too much harm. That's just impossible. Incompetent programmers will shoot themselves in the foot in any language. Fortunately there are other languages on the JVM that can use the real strength of Java: libraries, portability, and (to some extent) tooling.
이 외에도 정말 많은 개발자들이 자바언어의 Closure 미 지원을 아쉬워합니다.

이번 발표와 커뮤니티의 반응을 통해 너무나 많은 개발자들이 클로저를 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수 있었습니다. 아직 Java 7의 모든 기능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기에 커뮤니티의 반응에따라 기능이 추가될 여지도 배제할 순 없지만 개인적으로도 개발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언어차원에서 클로저를 지원하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현재 한국 자바 개발 현장에선 1.4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보여지고 많지 않은 곳에서 1.5 이상이 쓰이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보면 1.7이 현장에서 침투하기까진 적지않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요..

Closure에 대해 관심을 갖으신 자바개발자라면 "Neal Gafter의 자바를위한 클로저 프리젠테이션" 을 훑어 보시는것을 추천합니다.
2009/01/05 21:52 2009/01/05 21:52
Trackback Address: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1. 전 자바팬은 아니지만 어째 제가 더 아쉽군요^^

  2. Blog Icon
    서비

    Generics(JSR-14 였었나요?)가 JSR에 올라가서 1.5에 추가되기까지 8년이라는 시간이 걸렸죠.
    기존 코드와의 역방향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도입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렇게나 긴 시간을 들여 고민을 한 것인데요.
    클로저를 도입하는데도 저런 긴 시간을 들인다면 그 사이 어떤 전개가 펼쳐질지 궁금합니다.

비스타 슈퍼패치 설정 레지스트리 위치

슈퍼패치 레지스트리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Memory Management\

레지스트리 키값
0 = 비활성
1 = 응용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프리패치 활성
2 = 부트시 프리패치 활성
3 = 모두 프리패치로 활성(기본값)
2009/01/04 12:35 2009/01/04 12:35
Trackback Address: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