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for '2010/05'

전국 동시 지방 선거 요령?

제가 자주 찾는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인데 투표전에 숙지해 둘 만한 내용이어서 데려왔습니다.
출처 :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images2&page=1&page_num=50&select_arrange=headnum&desc=asc&sn=off&ss=on&sc=off&divpage=18&keyword=&category=&no=89636&cstart_page=endpage&VC=&SV 

이번 지방선거는 후보자가 8명이나 되다보니 누구를 골라야할지, 기준을 어떻게 정할지
잘모르는 분들이 계신 것같아 많이 부족하지만 제가 아는 데까지 한번 써 볼까합니다.

1.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자신의 선거구를 찾는 것입니다.
  1) 광역의회 선거구
  2) 기초의회 선거구
  3) 교육의원 선거구
이렇게 총3개의 선거구에서 각각 자신이 어디에 해당되는지부터
정확하게 아셔야합니다.

자신의 선거구 확인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하시면 됩니다.
http://epol.naver.com/information/status.jsp


2. 자신의 선거구를 확인했다면 해당하는 각 선거구에 출마한 후보자를 확인합니다.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서 "후보자 명부"를 보시면 후보자들의
간단한 약력, 경력, 전과기록, 병역사항, 재산사항, 나이, 세금체납등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전과기록이나 병역사항이 있다면 어떤 사유로 전과나 면제가 되었는지 확인하셔야겠죠~
(전과의 경우 선거사범이 많은 편이더군요~)
http://info.nec.go.kr/main/showDocument.xhtml?electionId=0020100602&topMenuId=CP&secondMenuId=CPRI03&menuId=CPRI03


3. 후보자 명부의 기준만으로는 잘모르겠다. 공약등을 자세히 알고 싶다면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의 "후보자 공약확인" 항목을 같이 봐주시면 좀더 정확하게 알 수있습니다.
해당후보를 선택해서 바로 볼수도있고 후보에 따라서는 PDF파일로 다운로드하실 수도 있습니다.
http://party.nec.go.kr/people/publicpledgepolicy/candidatepublicpledge/localelection/list.xhtml


4. 교육감 후보의 경우 정당표시가 없기 때문에 병역사항이나 나이 과거 경력과
공약을 통해서 진보성향이냐 친정부성향이냐를 판단해서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경력이나, 전면 무상급식 여부, 교육비리척결 등등)


5. 자신에게 맞는 8명의 후보를 골랐다면 마지막으로 해당후보의 과거 행적을
인터넷으로 검색해서 조사해보시면 더욱 확실하겠지요.

참고로 6월2일 전국동시 지방선거는 8명의 후보를 한번에 기표하는 것이 아니고
4명씩 두번에 나누어서 기표합니다.


4장의 용지를 받은 후에 기표하고 투표함에 넣고 다시 다른 4장을 받고 기표한 후에
다른 투표함에 넣으시면 됩니다.
아래는 투표절차와 각각 직책이 어떤 역활을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되어있으니 참고하세요~
http://epol.nec.go.kr/information/1in8.jsp

* 참고로 원글 작성하신분이 마음껏 복사해가도 좋다고 하시네요.

 

2010/05/27 15:49 2010/05/27 15:49
Trackback Address: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1. 2010/05/28 20:58
    6.2 지방 선거 요령 알아보기 Tracked from Digital Blue Eye...

소수 자리 숫자들의 사칙연산

커뮤니티에 올라온 질문 중에 소수자리 숫자에 대한 덧셈 계산의 결과가 이상하다는 내용이 있어 정리해 봅니다.
질문에 올라온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code]
double a = 35147.464;
double b = 73823.828;
double c= a+b;
System.out.println("a+b=" + (a+b));
System.out.println("c=" + c);

double d = 587350.504;
double e = 63354.488;
double f= d+e;
System.out.println("d+e=" + (d+e));
System.out.println("f=" + f );
[/code]

실행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code]
a+b=108971.29199999999
c=108971.29199999999
d+e=650704.992
f=650704.992
[/code]

왜 똑같이 소수점 세 자리 숫자를 더했는데 어떤 때는 소수점 아래 자릿수가 늘고 어떤 때는 세 자리로
출력되었을까요?

소수자리 숫자는 인간이 생각하는 10진수의 개념으로 접근 하면 안되기 때문인데요..
알고있듯이 컴퓨터는 0,1 로 모든 연산을 처리하는데 int, long 같은 정수라면 0,1로 표현할 수 있지만
float, double 같은 소수자리 수는 IEEE 754 표준에 의한 binary의 일부(fractions)로  표현하게 됩니다.
( http://www.math.byu.edu/~schow/work/IEEEFloatingPoint.htm 참조하시면 됩니다만 제게는 참.. 어렵네요.)
어쨌거나 저쨌거나 결과만 놓고 보면 '소수자리 숫자는 컴퓨터는 근사값 밖에 알 수 없다.' 인데요.

그럼, 저렇게 계산되도록 놔둬야 하느냐? 그렇지는 않습니다.
위 같은 경우는 DecimalFormat.parse() 메소드를 이용하면 됩니다.
맨 처음 코드를 아래와 같이 다시 작성해 볼 수 있겠지요.
[code]
java.text.DecimalFormat format = new java.text.DecimalFormat(".###");

double a = 35147.464d;
double b = 73823.828d;
double c= a+b;
System.out.println("a+b=" + format.parse( format.format(a+b) ) );
System.out.println("c=" + format.parse( format.format(c) ) );

double d = 587350.505d;
double e = 63354.491d;
double f= d+e;
System.out.println("d+e=" + format.parse( format.format(d+e) ) );
System.out.println("f=" + format.parse( format.format(f) ) );
[/code]


그럼 결과는 아래와 같이 원하는 대로 출력이 될 겁니다.
[code]
a+b=108971.292
c=108971.292
d+e=650704.996
f=650704.996
[/code]


한가지 유의해야 할 점은 저런 방식의 처리를 정확성을 요구하는 금융이나, 계측 분야에 적용 할 때는
계산결과의 정밀도가 충분히 받아들여질 만한 것인지를 다시 한 번 고민해야 한다는 겁니다.

금융과 같이 double이 허용하는 것보다 큰 숫자가 필요로 할 때는 BigDecimal을 이용해야 합니다.
( http://www.yunsobi.com/blog/227 BigDecimal의 필요성 참조 )

2010/05/14 19:54 2010/05/14 19:54
Trackback Address: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우왕.. 마세티

영화 '플래닛 테러' 개봉 당시 페이크 트레일러로 소개됐던 마세티가 실제 영화화 된다는 군용.
우왕 굿.
B급을 표방하는 A급을 만들어내는 쿠엔틴 타란티노 식 영화. 출연진도 만만찮아.. 기대하고 있음 둥.

[Flash]



2010/05/10 00:42 2010/05/10 00:42
Trackback Address: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1. Blog Icon
    60

    저도 엊그제 친구에게 이 얘기 들었어요. 몹시 기대됩니다.